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두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사각 두부가 떠오른다. 부침용이나 찌개용만 생각하게 되는데 사실상 두부류에는 두부, 유바, 가공두부, 묵류로 나눠집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두부에 대한 내용과 두부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드립니다.
두부류라고 하는 것은 콩류 (두류)를 주원료로 하여 얻은 두유액을 응고시켜 제조 가공한 것으로 두부, 유바, 가공두부를 말합니다.
묵류라고 함은 전분질이나 다당류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것을 말합니다.
먼저 원료는 당연히 이분이 제거된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때 유통될 때 진공포장, 진공 질소충전, 냉장유통 보관된 원료를 사용해야 합니다.
최종 소비자에게 가는 제품은 포장된 제품으로 권장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권장이다 보니 꼭 포장이 되지 않고 즉석에서 포장이 가능한 이유입니다.
이때 포장 안 한 제품은 상호, 상표, 성형 표시를 해야 하는데 다른 제품과 다른 점입니다. 다른 제품들처럼 포장이 자유롭기 때문 입에 규율도 있어야 하겠죠
유바를 제조할 때는 사용되는 두유는 살균 처리 또는 동등 이상의 효력을 가진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동등한 이라고 하면 애매하긴 합니다. 이는 살균과 F0 기준으로 설정하는 회사도 있고 또는 미생물을 관리하거나 논문에 나온 다른 균 제어 방법들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현실 산업에서는 살균된 두유에 필터까진 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두부류 제조에는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에 따라 수질기준에 맞게 생산해야 합니다. 식품공전에는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
두류의 경우 초기부터 살균이 이뤄지고 냉장 유통이나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제품으로 이뤄져서 기준규격이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기업 기준의 회사에서는 세균수까지 관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공전에서 말하는 기준보다 높은 수준으로 관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품명, 내용량 및 열량 이땐 열량은 내용량 뒤에 괄호로 표시해야 합니다.
이전에 포스팅한 식품의 허용오차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였습니다. 이때 두부류만 특별하게 제외 조항이 있었는데 이는 두부류의 경우 500g 미만의 제품은 10%의 허용오차이고 500g 이상일 경우는 5% 허용오차를 가집니다. 즉 두부류는 500g 기준으로 2가지만 존재합니다. 이는 두부를 만들 때 밀도에 따라 중량차이가 많아 생기는 법령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일반식품의 중량 허용오차 참고표는 아래 표로 전달드리면 관련 포스팅도 함께 전달드립니다.
적용분류 | 표시량 | 허용오차 |
중량 | 50g 이하 50g 초과 100g 이하 100g 초과 200g 이하 200g 초과 300g 이하 300g 초과 500g 이하 500g 초과 1kg 이하 1kg 초과 10kg 이하 10kg 초과 15kg 이하 15kg 초과 |
9% 4.5g 4.5% 9g 3% 15g 1.5% 150g 1% |
용량 | 50mL 이하 50mL 초과 100mL 이하 100mL 초과 200mL 이하 200mL 초과 300mL 이하 300mL 초과 500mL 이하 500mL 초과 1L 이하 1L 초과 10L 이하 10L 초과 15L 이하 15L 초과 |
9% 4.5mL 4.5% 9mL 3% 15mL 1.5% 150mL 1% |
2022.09.24 - [식품/식품 법] - 식품의 중량 허용오차 내용량 정확하게 들어가 있을까?
식품의 중량 허용오차 내용량 정확하게 들어가 있을까?
식품의 중량 내용량 정확하게 들어가 있을까? 라는 의문이 들때가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또는 직접 저울에 달았을때 적게 들어가 있는것 같기도 한 경우도 있습니다. 제조회사에는 어떤 기준으
dovivi.tistory.com
식품공전에서 권장하는 두부의 1일 권장 섭취량은 두부 한모가 아닌 80g입니다. 이는 두부, 유바, 가공두부, 묵류 모두 이에 해당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먹는 두부 300 g 은 약 4회 섭취 분량으로 보시면 됩니다.
식물성기름 유지 기준규격 및 표시사항 (1) | 2023.02.20 |
---|---|
식물성기름 종류와 제조방법 식품공전 기준 (0) | 2023.02.19 |
잼 기준규격 및 표시사항, 곰팡이가 생기는 이유 (1) | 2023.02.17 |
마트 떡, 방앗간 떡 차이 및 표시사항, 기준 규격 (0) | 2023.02.15 |
식품표시법 빵류 기준규격 및 표시사항 가이드 (0) | 2023.02.14 |
댓글 영역